03.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입문부터 실전까지 단계별 가이드

ls plc 기본 프로그램

누구를 위한 글인가

이 글은 현장에서 막 첫 프로젝트를 시작한 입문자와, 표준 템플릿을 만들고 싶은 실무자를 모두 대상으로 한다. 핵심 목표는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흐름을 “프로젝트 생성 → 태그/주소 설계 → 래더 작성 → 시뮬레이션 → 현장 적용”의 다섯 단계로 단순화하는 것이다. 각 단계마다 실수 포인트와 체크리스트를 함께 제시해 검색 의도와 학습 효율을 동시에 충족한다.

시작 준비: 개발 환경과 프로젝트 생성

  • : XG5000(최신 패치 권장).
  • 모델: XGB/XGK/XGI/XEC 등 실제 CPU에 맞게 선택.
  • 프로젝트: 새 프로젝트 생성 → 베이스/전원/모듈 구성 지정 → 저장.
  • 통신 설정: [온라인]—[PC 통신설정]에서 USB 또는 Ethernet을 지정.
    이 준비만으로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1단계를 통과한다. 프로젝트를 만든 직후 “장치 정보 읽기”로 실제 랙 구성과 프로젝트 구성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자. 불일치가 있으면 이후 주소 맵이 어긋나며 디버깅 시간이 폭증한다.

주소·태그 전략: 읽기 쉬운 프로그램의 절반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에서 가장 큰 생산성 차이는 태그 네이밍에서 발생한다. 디바이스(X/Y/M/T/C/D 등)는 물리·논리 영역을 의미하므로, 다음 원칙을 추천한다.

  1. 접두어 규칙: PB_(푸시버튼), SENS_(센서), MTR_(모터), ALM_(알람)처럼 기능 기반 접두어.
  2. 구역·설비 코드: 라인/공정/스테이션을 두 글자 코드로 포함(예: L1_ST2_MTR_MAIN).
  3. 주석 일관성: 태그 생성 시 한글 설명을 곧바로 기입. 검색과 유지보수 효율이 급상승한다.
  4. 주소 분리: 안전 신호, 인터록, 수동/자동 모드를 비트 블록 단위로 묶어 관리.
    이 전략을 적용하면, 이후의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과 디버깅이 눈에 띄게 빨라진다.

래더 기초: 접점·코일·타이머·카운터

1. 시동/정지 회로: 유지접점(셀프홀드) + 인터록.
2. 타이머 TON/TOF: 지연 기동, 배출장치 고착 방지.
3. 카운터 CTU/CTD: 충전 횟수, 박스 개수 집계.
4. 인터록: 위험 동작 상호 배제(MUTEX).
핵심은 “상태를 한 줄 설명으로 읽히게” 만드는 것이다. 즉,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은 “기능을 문장처럼” 표현하는 훈련이다. 타이머·카운터 값은 나중에 HMI에서 튜닝할 수 있도록 D레지스터로 빼두면 재컴파일 없이 조정이 가능하다.

상태머신(Sequence)로 사고 전환

초보자는 접점 나열로 로직을 늘리기 쉽다. 하지만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모범 답안은 상태머신이다. STATE_INIT → STATE_READY → STATE_RUN → STATE_ALARM → STATE_STOP처럼 단계와 전이 조건을 명확히 정의하면, 알람 발생 시 어느 단계에서 멈췄는지 한눈에 파악된다. 또한 테스트도 “단계 단위”로 진행할 수 있어 공정 리스크를 낮춘다.

시뮬레이션·모니터링: 현장 가기 전 필수 절차

  • 오프라인 시뮬: 입출력 강제(Force)로 정상 전이를 검증.
  • 워치 리스트: 핵심 태그(인터록, 안전, 모드, 타이머 프리셋)를 한 화면에서 관찰.
  • 알람 설계: 조건·설명·대응 조치 3요소를 태그와 함께 정의.
    이 단계에서 발견된 결함을 바로잡아야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본연의 목적—현장 안전과 가동률—을 지킬 수 있다.

예제: 모터 단일축 자동/수동 제어(개념)

  • 모드: AUTO_MODE, MAN_MODE.
  • 입력: PB_START, PB_STOP, SENS_ESTOP, SENS_READY.
  • 출력: MTR_RUN, ALM_LAMP.
  • 로직 핵심: AUTO_MODE에서 SENS_READY 참일 때 PB_START가 1이면 MTR_RUN을 유지. PB_STOP 또는 SENS_ESTOP이면 즉시 차단, ALM_LAMP 점등.
    이 예제는 소규모지만, 구조는 대형 설비에도 그대로 확장된다. 즉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표준 골격이 된다.

디버깅 전략: 로그가 답이다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과정에서 문제를 가장 빨리 찾는 방법은 “관찰”이다. 워치 리스트에 STATE, AUTO_MODE, INTERLOCK_OK, 핵심 D 레지스터, I/O 경계 신호를 고정해두고, 스텝 전환 시각을 로그로 남긴다. 타임스탬프+조건을 한 줄 규칙으로 기록하면, 동일한 결함이 반복될 때 즉시 재현이 가능하다. 알람 메시지는 “원인(Why)+대응(How)”로 통일해 운전원 교육 없이도 복구가 되게 만든다. 즉, 잘 설계된 로그 체계 자체가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유지보수 문서다.

빠른 원인분석 체크

  • 증상 기준 vs. 원인 기준 태그를 분리(예: ALM_MOTOR_OLCAUSE_THERMAL_TRIP).
  • 인터록 가시화: “막는 조건”을 별도 램프로 표시.
  • Force 사용 이력 자동 기록: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에서 위험 변경을 추적.

배포(Commissioning) 체크리스트

  1. 백업 쌍: 변경 전/후 전체 백업을 같은 폴더에 보관.
  2. 안전 우선: E-Stop, 라이트커튼, 도어스위치 등 안전 신호 우선 검증.
  3. I/O 맵 검수: 프로젝트와 실제 단자대 표 교차 확인.
  4. 런업 시퀀스: 무부하→단위부하→정상부하 순으로 단계적 가동.
  5. 알람 시험: 의도적 이상 상황 주입(센서 탈락, 비상정지)으로 복구 시나리오 점검.
  6. 인수 문서: 알람 목록, 점검표, 파라미터 기본값을 패키지로 인계.
    배포 품질이 곧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완성도다.

보안·안전: 예측 가능한 시스템 만들기

  • 암호 정책: CPU·프로젝트 암호를 주기적으로 교체, 최소 인원 공유.
  • 권한 분리: 운영/개발 권한을 분리, 온라인 쓰기 권한 최소화.
  • 네트워크 격리: 생산망을 사무망과 분리, 원격 접속은 VPN 전용.
  • 안전 로직 독립: 긴급정지·안전게이트는 일반 로직과 물리/논리 분리.
    이 네 가지가 지켜지면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으로 만든 설비가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전된다.

HMI 연동 기본기(태그 매핑)

HMI 주소는 “보는 값/설정 값/상태 값”을 나눠 설계한다. 예를 들어 D100은 표시용 PV, D200은 조정용 SP처럼 분리하고, 조정 값은 범위·단위를 함께 명시한다. 알람 화면에는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에서 정의한 “원인/대응”을 그대로 노출해 현장 복구 시간을 단축한다.


성능 최적화 팁

  • 고빈도 연산은 이벤트 태스크로 분리(캡처/비교, 고속카운터).
  • 실수 연산 최소화, 정수 스케일링 우선.
  • 네트워크 폴링 주기를 공정 주기와 동기화.
  • 디바운스는 하드웨어(필터) + 소프트웨어(타이머) 병행.
    이렇게 하면 스캔타임이 안정되고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응답성이 눈에 띄게 향상된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처음부터 상태머신이 꼭 필요한가요?
A. 간단한 설비라도 단계 정의부터 시작하면 디버깅·확장이 쉬워진다.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의 기본 습관으로 추천.

Q2. 시뮬레이션만 믿고 현장에 투입해도 되나요?
A. 아니오. 시뮬은 논리 검증용이고, 센서 특성·노이즈는 현장에서만 드러난다. 단계적 실부하 시험이 필수.

Q3. 변수 이름을 한글로 해도 되나요?
A. 가능하지만, 영문 약어+한글 주석 조합이 검색성과 협업성이 좋다.

Q4. 알람은 얼마나 세분화해야 하나요?
A. 복구 동작이 달라지는 지점까지. 같은 대응이면 하나로 묶고, 대응이 다르면 분리한다.

Q5. 공정 값 튜닝은 어디에 넣나요?
A. 전용 D 블록으로 묶고 HMI에서만 변경하게 한다.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표준 템플릿에 포함하면 편하다.


요약·다음 단계

  • 흐름: 프로젝트 생성 → 태그/주소 → 래더 기본 → 상태머신 → 시뮬/로그 → 배포/보안.
  • 핵심: 읽히는 코드, 재현 가능한 로그, 표준화된 체크리스트.
  • 다음 글 제안: “LS PLC 타이머 프로그램” 학습을 이어가자.
    이 가이드를 그대로 따라 하면,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이 “복잡한 기술”이 아니라 “반복 가능한 프로세스”로 자리 잡는다.

LS PLC 기본 프로그램 작성 도움 영상

https://sol.ls-electric.com/kr/ko/product/category/0?utm_source=lsehomepage&utm_medium=display&utm_campaign=lse_ko_dn&_gl=11sw5ta2_gaODk4NDIwMjYuMTY2OTYxMjgwNg.._ga_TDKNMM17N2*MTcyNDAzNTczNS45LjAuMTcyNDAzNTczNS42MC4wLjA.

댓글 남기기